2025/08/14 2

공공 데이터 기반 지방 중소도시 스마트화 시도 분석

지방중소도시 스마트화의 필요성과 환경 변화지방중소도시는 인구 감소, 산업 쇠퇴, 청년층 인구 유출이라는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 89개 지방중소도시 중 70% 이상이 인구가 줄었고, 그중 40% 이상은 ‘지방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행정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낮고, 교통·의료·교육 인프라 접근성도 취약하다. 그 결과 주민들이 체감하는 생활 불편은 심화되고 있다.그러나 2020년 이후, 중앙정부의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 정책과 함께, ‘공공 데이터 개방 확대 정책’이 추진되면서 지방중소도시에도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스마트 시티라는 개념은 과거 대도시 중심의 대규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소..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방과 후 아동 돌봄 서비스 개선

방과 후 아동 돌봄 서비스의 현실과 필요성한국 사회에서 맞벌이 부부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체 가구의 48%가 맞벌이 가정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의 증가도 맞물리면서 방과후 아동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학교 수업이 끝난 뒤 부모가 귀가하기 전까지의 공백 시간은 단순한 여가 시간이 아니라, 아동의 안전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는 돌봄 서비스는 여전히 지역별·시간별 불균형이 심하고, 서비스 품질에도 차이가 크다.특히 농촌·도서 지역은 돌봄센터 수 자체가 부족해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신도시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지역은 아동 인구 증가 속도를 시설 확충이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