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중소도시 스마트화의 필요성과 환경 변화지방중소도시는 인구 감소, 산업 쇠퇴, 청년층 인구 유출이라는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 89개 지방중소도시 중 70% 이상이 인구가 줄었고, 그중 40% 이상은 ‘지방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행정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낮고, 교통·의료·교육 인프라 접근성도 취약하다. 그 결과 주민들이 체감하는 생활 불편은 심화되고 있다.그러나 2020년 이후, 중앙정부의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 정책과 함께, ‘공공 데이터 개방 확대 정책’이 추진되면서 지방중소도시에도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스마트 시티라는 개념은 과거 대도시 중심의 대규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