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2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주택 재정비 문제 해결

공공 데이터로 풀어가는 지역 주택 재정비의 길우리 사회에서 주택 재정비는 단순히 건물의 외관을 개선하거나 신축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는 차원을 넘어섰다. 특히 지방 소도시와 농촌 지역에서는 노후 주택 비율 증가, 인구 유출, 빈집 확산, 기반 시설 노후화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생활환경 전반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주택의 약 36%가 사용 연수 30년을 초과했고,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이 비율이 50%를 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함께 통계청의 빈집 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방 중소도시의 빈집 비율은 평균 8~12%에 달하며 일부 시·군에서는 20%를 넘는 곳도 있었다.이러한 문제는 주거 안전성 저하뿐 아니라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진다. 방치된 빈집은 범죄와 ..

공공 데이터 기반 지역 안전 인프라 구축의 실제

지역 안전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과 공공 데이터의 가치도시와 농촌을 막론하고 우리 사회 곳곳에는 여전히 안전 인프라가 부족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인구 감소로 관리 인력이 줄어드는 농어촌 마을, 급속한 개발로 기존 안전 체계가 뒤따르지 못한 신도시, 그리고 복잡한 도심 속 골목길과 오래된 주택 밀집 지역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지역은 범죄·사고·재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정확한 진단 자료와 우선순위 설정 기준이 부족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공공 데이터의 활용 가치는 빛을 발한다.공공 데이터는 단순한 통계 자료를 넘어, 시간·공간·상황별로 안전 위험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지도’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경찰청의 범죄 발생 기록, 소방청의 출동 이력, 도로교통공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