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감소로 드러난 지방 소멸의 현실과 그 배경지난 수십 년간 대한민국은 수도권 중심의 인구 집중 현상을 겪으면서 지방의 활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지속된 저출산과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은 중소 지방자치단체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중 절반 이상이 인구 감소에 직면해 있으며, 그중 상당수가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출산율 저하’나 ‘청년층 유출’이라는 좁은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원인이 교차하는 이 문제는 보다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며, 바로 이 지점에서 ‘공공 데이터’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된다.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