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2

공공 데이터를 통한 지방 소멸 위기 진단과 대안 제시

인구 감소로 드러난 지방 소멸의 현실과 그 배경지난 수십 년간 대한민국은 수도권 중심의 인구 집중 현상을 겪으면서 지방의 활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지속된 저출산과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은 중소 지방자치단체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중 절반 이상이 인구 감소에 직면해 있으며, 그중 상당수가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출산율 저하’나 ‘청년층 유출’이라는 좁은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원인이 교차하는 이 문제는 보다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며, 바로 이 지점에서 ‘공공 데이터’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된다.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통계청..

공공 데이터 기반 에너지 자립 마을 구축 이야기

에너지 전환 시대, 마을이 주체가 되다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시대적 요구 속에서,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구조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에너지 자립’이라는 개념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을 넘어서 지역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소비·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 접근성과 비용 문제로 인해 소외되었던 농촌·도서·산간 지역에서는 자립적 에너지 시스템이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으로 연결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다양한 지자체들이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맞춤형 에너지 자립 마을을 기획하고 실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공공 데이터 기반 지역 문제 해결의 가장 실질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