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2

공공 데이터 기반 지역 마을방송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

노후화된 마을방송, 여전히 중요한 지역 커뮤니케이션 수단전국의 시골 마을이나 읍·면 단위 소규모 지역사회에서는 여전히 ‘마을방송’이라는 전통적 매체가 주민들의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른 아침 마을회관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해 울려 퍼지는 안내방송은 상수도 단수 일정, 폐기물 수거일, 구청 공지, 주민 대상 예방접종 일정 같은 생활 정보 전달에 활용되고 있으며, 고령층이 많은 지역일수록 그 의존도는 상당하다. 그러나 이 마을방송 시스템은 대부분 1990년대 이전에 설치되어 노후화가 심각하고, 방송 송출 장비나 음질, 통신 방식이 낙후된 경우가 많아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기상 재해, 실종자 수색, 화재 발생 등 위기 상황에서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주민들이..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지역 공공시설 최적화 사례

지역 공공시설 과잉과 공실 문제, 왜 지금 주목받는가?지방자치단체들은 그동안 다양한 주민 편의시설을 마련하는 데 공을 들여왔다. 도서관, 체육센터, 마을회관, 청소년 문화센터, 평생학습관, 주민자치센터 등은 그 자체로 지역 공동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사회적 인프라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인구 감소, 고령화, 생활패턴의 변화라는 구조적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이러한 공공시설의 존재 방식에도 큰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 소멸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시·군·구에서는 주민 수 대비 과잉 공급된 시설, 중복된 기능의 기관, 거의 이용되지 않는 공공건물 등의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지어진 시설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는 상황은 재정 부담뿐 아니라 행정의 신뢰도에도 악영향을 준다.이러한 상황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