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3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도서 지역 행정 효율화 방안

도서 지역이 직면한 행정의 구조적 한계대한민국은 약 3,300여 개의 섬을 보유한 다도해 국가다. 그중 400여 개 섬에는 실제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경상남도, 인천광역시 등의 도서 지역은 수십 개의 유인도와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서 지역은 지리적으로 육지와 단절되어 있고, 교통과 통신 인프라가 열악한 경우가 많아 행정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주민등록, 복지 행정, 생활 민원, 긴급 대응, 공공의료 등 기초적인 행정 기능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는 도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저하로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다.예를 들어, 전남 신안군의 흑산면이나 전북 부안의 위도, 충남 보령의 원산도 같은 지역은 ..

공공 데이터로 본 지역별 인구 감소 문제와 대응 정책

인구 감소, 지역 사회의 조용한 위기대한민국은 빠른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고착화되었고, 그 결과 지방 중소도시와 농어촌은 인구 유출과 고령화라는 이중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이주, 출산율 저하, 노년층의 사망률 증가가 겹치면서 많은 지자체는 사실상 ‘지방 소멸’의 위험에 놓여 있다. 통계청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공공 데이터를 살펴보면, 현재 대한민국 전체 시·군·구 중 약 40% 이상이 ‘소멸 위기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인구 3만 명 이하의 농산어촌 지역에 해당한다.이러한 위기는 단순히 행정구역의 존립 문제를 넘어서 지역의 정체성, 경제 기반, 복지 서비스의 존속 여부를 위협하는 사회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라남..

공공 데이터 기반 지역 관광 활성화 프로젝트 살펴보기

지역 관광의 침체와 데이터 기반 접근의 필요성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한 나라로 평가받아 왔지만, 수도권 집중 현상과 교통 접근성,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지역이 관광 수요에서 소외되는 문제를 겪어왔다. 특히 농어촌, 도서 지역, 내륙 산악 지대 등은 자연·문화·역사적으로 훌륭한 자원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거나 외면받는 현실에 놓여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러한 지역 관광의 불균형은 더욱 두드러졌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관광의 기능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커졌다.이러한 배경 속에서 ‘공공 데이터 기반 관광 활성화 전략’이 하나의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제 관광 산업은 단순히 홍보나 기반시설 확충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 문제를 안고 ..